File & Folder Permissions
파일 및 폴더 권한 설정
Last updated
파일 및 폴더 권한 설정
Last updated
파일 속성 정보 ‘-rw-r--r-- 1 root root2 13 7월 15 16:11 sample.txt’
파일유형 : ‘-’ (d : 디렉터리 , - : 일반 파일)
파일 허가권 : ‘-rw-r--r--’
링크 수 : 1
파일 소유자 이름 : root
파일 소유그룹 이름 : root2
파일 크기(Byte) : 13
마지막 변경 날짜/시간 : 7월 15 16:11
파일 이름 : sample.txt
파일 허가권
‘rw-’, ‘r--’, ‘r--’ 로 3개씩 끊어서 인식하면 된다.
‘r’ : read, ‘w’ : write, ‘x’ : execute(실행)의 약자.
첫번째 ‘rw-’는 소유자(user)의 파일 접근 권한을 두번째 ‘r--’는 그룹(group)의 파일 접근 권한을 세번째 ‘r--’는 그 외 사용자(other)의 파일 접근 권한을 의미한다. 즉, 위의 예시에선 sample.txt파일은 소유자는 읽고 쓸 수 있고 그룹은 파일 접근 권한만을, 그 외 사용자도 파일 접근 권한만이 허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.
umask
Umask(사용자 파일 생성 모드 마스크)는 UNIX 기반 시스템에서 새로 생성된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기본 권한을 설정하는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 위의 예처럼 ‘rw-r--r--’ 권한이 있는데 ‘rw-rw----’로 바꾸고 싶다고 가정하자. 그러면 접근권한은 660임을 유추할 수 있고, umask값은 666에서 뺀 값인 006(혹은007) 라는 결과가 나온다.
즉, 권한을 3부분(user, group, others)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알파벳에서 각 자리수를 4,2,1 이라는 점수를 매긴다.
파일은 666, 폴더는 777 이 최대 권한이다.(보안) 고로 3부분에서 도출된 권한 점수(?)를 최대 권한점수에서 빼준다.
그 결과값이 부여하고 싶은 umask 값이다.
시스템 설정 관련 파일: /etc/passwd
, /etc/group
, **/etc/shadow
**와 같이 사용자 계정 정보, 그룹 정보, 암호화된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는 파일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.
네트워크 설정: /etc/network
, /etc/network/interfaces
등의 디렉터리와 파일은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합니다.
패키지 관리 및 소프트웨어 설정: /etc/apt
, /etc/yum
, **/etc/ld.so.conf
**와 같은 디렉터리와 파일은 패키지 관리자 설정, 라이브러리 경로 설정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합니다.
서비스 및 데몬 설정: /etc/systemd
, /etc/init.d
등은 시스템 서비스와 데몬의 설정 파일을 포함합니다.
시스템 구성 파일: /etc/fstab
, /etc/hosts
, /etc/resolv.conf
등은 파일 시스템 마운트 정보, 호스트 정보, DNS 설정 등을 포함합니다.